본문 바로가기

[유로무료주식] 지항과 지지? 그래서 매수 매도는 언제해?

[JOKER CU] [조커 쿠] 2022. 8. 20.

[유로무료주식] 지항과 지지? 매수, 매도 타점은 다릅니다.

 

 

조커 입니다.

 

먼저 공지사항 읽어부세요. 블로그 퍼가기 안되겠금 공지하고 있으며 티스토리 상에서도 공유할 수 없도록 계약되어 있습니다.

 

제가 주식 공부를 하면서 지겹도록 보기 싫은 것이 저항과 지지의 개념입니다.

 

대부분 주식 좀 하신다는 분들도 저와 같은 심정이시줘.

 

ㅎㅎ 그런데 정말 저항과 지지를 재대로 알고 있으신가요?

 

정말 아주 많은 이론들이 있으며, 저 역시도 아주 많은 자료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진짜 중요한게 뭔줄 아세요?

 

저항과 지지 알겠다 이거에요. 근데 언제 매수하고 언제 매도하란 말인가요?

 

사실 저항과 지지란 말은 아주 광범위하고 이평선처럼 애매하게 말해도 부인할 수가 없답니다. 그래서 더욱더 정확하게 말할 줄 아셔야 하니다.

 

그럼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저항과 지지는 그냥 박스권이라 함은 고점 저점 두줄 딱 그어넣고 끝이조. 그래서 추세 패턴이 추가되서 거의 20개에 가까운 저항과 지지선들이 새로 나오고 이제는 그것도 모잘라서 때로는 캔들 패턴까지 추가를 시킵니다.

 

그럼 제가 간단히 말해 볼께요.

 

먼저 추세가 상승인지 하락인지 횡보인지를 파악해야 합니다. 그 방법은 보조지표를 사용해서 구분할 수 가 있습니다.

여기까지 이야기해도 사실 무수히 많은 내용이 나올 수 있겠네요.

 

그럼 다시 정리 할께요.

 

저항과 지지의 계념은 사실 공급과 수요의 법칙입니다.

 

1. 공급과 수요가 비등비등하면 >>>> 횡보추세

2. 공급이 더 많으면 >>>> 하락추세

3. 수요가 더 많으면 >>>> 상승추세

 

반대로 이야기하면

1. 매도 매수세가 같으면 >>>> 횡보추세

2. 매도 추세가 더 많으면 >>>> 하락추세

3. 매수 추세가 더 많으면 >>>> 상승추세

 

여기 까지는 누구다 다 이해 합니다.

 

그럼 여기서 심화로 들어가 볼께요.

**횡보추세에도 가격은 오르락 내리락 합니다. 그 가격의 오르고 내리고를 변동성(Volatility) 이라고 합니다.

그럼 횡보 중에도 변동성이 큰것과 변동성이 작은 것으로 나눠지겠죠. 이렇게 하나씩 나누면서 공부를 해야 합니다.

 

하나의 예를 보여 드릴께요.

 

여기서 1번은 변동성이 큰 경우의 횡보, 3번의 경우는 변동성이 작을때의 횡보입니다.

저항과 지지는 노락색 하이라이트 되어 있는 부분입니다.

근데 이것으로 저항과 지지라고 하면 끝? 나는 걸까요??

변동성이 큰 놈의 저항과 지지의 기법과 변동성이 작은 경우는 저항과 지지의 기법이 다 따로 있다는 겁니다.

 

 

그래도 조커 블로그 오시는 분들은 공부하고자 하시는 분들 이오니 제목과 같이 추세를 타는 저항과 지지든 박스권 저항과 지지던 어떻게 매수 매도를 해야 하는지 핵심 꿀팁만 드리고 물러 나겠습니다.

 

 

추세가 상승 중이네요. 그럼 우리는 추세 상승 중에 가격 되돌림에 매수를 해야합니다.

그럼 되돌림의 가장 저점이 어디입니까? 바로 2번이줘.
저기 2번의 고가를 오늘캔들 즉 1번이 돌파할때 "매수" 하는 겁니다.

가장 안정적이고 고전적인 방법입니다. 그런데 승률이 98% 입니다. 차트 펼쳐놓고 잘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Trend line + Retracement (되돌림) 방법입니다.
(또는 20 EMA (지수이동평균)을 적용하셔도 됩니다.)

그럼 스탑로스는 어디로 해야 하나요?
바로 2번의 저점입니다.

OK?

이렇게 설명이 되어야 저항과 지지 매수 매도 타점이 나오는 겁니다.


추세가 하락 중입니다. 언재 매도할까요?

추세가 하락하면 가격 회귀의 법칙에 따라서 추세선으로 돌아 오려고 합니다. 바뢰 하방 되돌림이줘.

그럼 추세선이 저항이 되면서 추세선 에 캔들이 근접하면 돌파 여부를 확인 후 매도 포지션으로 와야 합니다.

그럼 매도 포지션이 어딘데?

바로 추세선과 가장 가까운 캔들의 저가가 매도 포지션이 되며 다음날 캔들이 그 가격을 하방이탈하면 매도를 합니다.

OK? 쳐다보고 있지말고 예약매도 걸면 되겠죠.
직장인이 대부분인데 주식 쳐도보고 있을 시간 없음.

하방일때의 매수 타점은 이와 마찬가지로 추세선과의 이격이 가장 많이 벌어져 있으면서 다음날 양봉으로 상승해 주는 놈이 되겠죠. 
박스권 돌파 입니다.

박스권의 의미는 뭔가요? 누구는 조정단계라고 하고 누구는 쉬어 간다고 하고 여러가지 말들이 많줘. 또는 매집 구간일고 합니다.

예. 다 맞습니다. 그런데 저는 수요=공곱이라고 말 할께요. 다 경제 원리와 심리 입니다.

다만 박스권이 작고 길수록 확실히 크게 가는 건 사실입니다.

각설하고, 매수 타점은 1번이 저항을 뚫을 때입니다.
그럼 스탑로스는 어디 일가요? 바로 돌파 직전의 캔들의 저가 입니다. 바로 2번 캔들의 저가라는 말입니다.

돌파 이후에 많이 흔들어 됩니다. 그걸 극복하는 방법이줘.

박스권에서도 이렇게 정확한 기법과 손절 라인이 명확히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박스권에서 지지를 하방돌파 할때 입니다.

매도 타점이 됩니다.

이건 매수 타점은 없죠, 왜냐면 이미 매수는 되어 있을 것이고 언제 매도 하는냐에 대한 이야기이기 때문입니다.

단 지지라인이 깨지면 이 지지라인은 다시 저항 라인으로 변해서 바로 위 Figure 8.9과 같이 다시 매수 타점을 노려야 합니다.

번호 2,3,4는 아무 의미 없는것들 입니다. 현혹되지 마세요.

 

진짜 아주아주아주아주 간단히 지지와 저항 이론의 10%도 안되는 부분을 소개해 드렸어요.

 

여러분 저항과 지지 얼마나 알고 계세요?

 

각종 유투브, 카페에서 뭐가 어떻다 하는거 잘 골라 보시기 바랍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추세가 상방이냐, 하방이냐, 박스권이냐 아니냐, 추세가 강햐나 약하냐 이 3가지를 꼭 챙겨야 합니다. 그리고 제가 위에서 제시한 방법대로 매수 매도를 하셔야 합니다.

 

주식 원서를 많이 접해 보시면 상당히 자세하고 합리적인 매수, 매도 진입 방법들을 제시를 하고 있어요. 구글링하면 자료들 많이 나오니까 쓸대없이 유투브 찾아서 보지 말고 책한권 다운 받아서 정독해 보시길 바랍니다.

 

 사실 이런것들을 기법이라고 표현하지만 제가 생각하는 것은 돈의 흐름이라고 생각합니다.

돈이 많이 몰리면 가격은 올라가고, 돈이 몰리지 않으면 가격 내려가는거는 당연지사 입니다.

 

내가 사려는 주식이 내가 파려는 주식이 과연 돈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 아니면 더 돈 값을 할 수 있을지, 아니면 지금 너무 고가가 아닌지 저가가 아닌지 잘 해야려 보시기 바랍니다.

 

요즘은 이놈에 유투브 때문에 다들 기초 공부 보다는 급등주식, 급등 찾는법, 급등 조건식등 ... 이론없이 열매만 따먹을려고 하는 매체가 너무 많고 개미들은 그 열매만 먹으려고 하고 있습니다.

 

주식 그렇게 하지 마세요.

개미가 왜 개미 입니까? 열심히 일해서 창고에 곡식 꽉꽉채워 넣고 겨울을 버팁니다. 왜 일도 안하고 창고에 곡식 차기만 기다립니까?

 

그럼 이만 줄이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