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아파트 분양권 전매제한 5년 늘었네요
2021년 아파트 분양권 전매제한 5년 늘었네요
안녕하세요.
봄이 오긴 오고 있나 봅니다. 옷차림도 가벼워지고 색도 밝은 색으로 변하고 있네요.
JOKER_CU [조커+쿠] 입니다. 오늘은 2021년 4월 1일 국회를 통과한 분양권 전매제한에 대해서 말씀드려요.
청무피사
당황하지 마시구요. "청무피사란 청약은 무슨 피주고 사라" 라는 말 입니다. 그만큼 청약으로 집 장만하기 어렵다는 말입니다.
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공공분양은 청약으론 한계를 매번 느끼고 있네요. ㅠ.ㅠ
공공재개발 관련 법이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분양가가 3억 올라도 팔지도 사지도 못하는 전매제한 기간이 5년 더 늘어난다 라는 것이 골짜 입니다.
취지야 잘 알겠지만, 어떻게든 목돈을 모으려는 분들에게 많이 아쉽고, 반대로 P주고 팔려는 분들에게도 안타까운 소식입니다. 예를 들어 검단신도시 P값이 8개월전 1억이 지금은 4억이라고 합니다.
지역에 따라서 최장 10년 전매제한 및 5년까지 거주의무
정부는 앞으로 세부적인 전매제한·거주의무 기간을 정할 예정이라는데, 현행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를 기준으로 할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전매제한 기간이 주변 시세 대비 분양가가 80% 미만이면 10년, 80~100% 8년 100% 초과 5년이다. 거주의무 기간은 분양가가 주변 시세 이하일 경우 2~3년(80% 미만) 이라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업계의 반말
늘 반대 여론도 있는 법이줘.
분양가가 오르는데도 전매제한을 늘리는 것은 과도한 시장 규제로 거래활동을 위축할 수 있다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대책은?
용적률 기억나시줘. 가능한 높게 많이 아파트를 지어서 분양가를 낮추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빨리 집걱정 없는 날이 왔으면 합니다.
이상 JOKER_CU [조커_쿠] 였습니다.
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부동산 > 부동산 대책 및 내 집 마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거지역에 대한 용어사전 (0) | 2021.04.15 |
---|---|
아파트 분양권 "초치기" 라고 아시나요? (4) | 2021.04.06 |
무조건 알아야할 공공분양 과 일반공급의 차이점! (2) | 2021.03.31 |
영끌 하셨나요? 부동산 투자 불패원칙 3가지 알려드려요. (3) | 2021.03.28 |
부동산 공부의 시작 (6) | 2021.03.28 |
댓글